본문 바로가기
기타 정보

살찐 아이들 코로나 피하려다 성인병 걱정

by 이직 파티룸 2022. 10. 11.
반응형

살찐 아이들 코로나 피하려다 성인병 걱정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아동·청소년의 병적 비만이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병적 비만과 치료가 필요한 성인병으로 일컬어지는 고혈압·당뇨·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아동·청소년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살찐 아이들 코로나 피하려다 성인병 걱정


목차

    분석 결과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코로나 팬데믹이 계속된 2021년 한 해 동안 비만 진료를 받은 소아 청소년의 수는 2019년보다 1.9배 늘었다. 같은 기간 고혈압은 1.5배, 당뇨 진료는 1.3배, 고지혈증은 2.3배 증가했다.

    특히 중학생 비만 진료가 크게 늘었다. 2021년 중학생 비만 진료는 2019년 대비 약 2.2배(124.8%) 증가하며 초등학생 2배(98.8%), 고등학생 1.5배(47.0%), 영유아기 1.3배(34.3%) 보다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증가 폭과 진료 건수 모두 많았고, 남자 중학생과 남자 초등학생의 증가율은 100%를 상회하며 2배 이상 늘어났다.

    같은 기간, 고혈압 진료는 초등학생 1.9배(93.1%), 중학생 1.7배(74.9%), 고등학생 1.3배(29.9%) 순으로 증가했다. 영유아는 고혈압 진료가 감소했다.

    고지혈증 진료도 중학생이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2021년 한 해 고지혈증 진료량은 2019년에 비해 3배(177.0%) 가까이 늘어났다. 뒤이어 초등학생 2.3배(128.7%), 고등학생 2배(100.4%), 영유아기 1.3배(32.7%) 순으로 증가했다.

    고지혈증 진료 역시 남학생의 증가율이 여학생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남자 중학생과 남자 초등학생의 증가 폭이 각각 2.4배(189.2%), 2.3배(137.2%)로 컸다 .
    당뇨의 경우 중학생 1.4배(42.0%), 초등학생 1.4배(40.2%), 고등학생 1.2배(18.9%) 순으로 증가했다. 영유아의 당뇨 진료는 하락했다.

    신현영 의원은 “코로나 기간, 소아 청소년의 비만과 만성질환 진료의 증가는 학생 건강검진 결과 소아 청소년의 만성질환 지표가 악화했다는 분석을 실질적인 수치로 증명해주는 결과”라고 밝혔다. 신 의원은 "학령기는 평생 건강의 기초를 다질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숨은 만성질환 소아 청소년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정부는 체계적인 학생 건강관리를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치료 방법


    한편, 소아청소년기 비만과 만성질환은 성조숙증 등 신체 성장을 방해하는 각종 질환을 유발하고, 성인이 된 이후까지 이어지기 쉬워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소아비만의 치료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교정을 통해 진행한다. 원칙적으로 약물과 수술요법은 소아에게 적용하지 않는다.

    일주일에 최소 3~4회 운동, 운동 전후 단 음료 섭취 금지, 콜레스테롤이나 트랜스지방 함량이 높은 가공식품 섭취 자제 등 생활습관을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래에 다른 정보들도 있으니 살펴봐주세요.

    반응형

    댓글